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꾸베씨
- 행복
- 메노스힐트하위전
- 도시에살기위해진행중입니다
- 독서습관
- 멀리가쟈
- 도시생태계
- SNS의위험성
- 트렌드코리아2021
- 1일1독
- 카카오프로젝트100
- 루틴의힘
- 1일1글귀
- 도시에서진화중입니다
- 꾸베씨의행복여행
- 왓칭2
- 생각이너무많은서른살에게
- 도르와함께한인생여행
- 달러구트꿈백화점
- 습관만들기
- 평일도인생이니까
- 제한된자유
- 행복측정법
- 댄애리얼리
- 독서
- 그대로의나
- 신미경작가
- 시아를넓힐수록마법처럼이루어진다
- 레이블링게임
- 독후감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도시생태계 (2)
균형잡는 고양이

2020. 10. 18. 도시에 살기 위해 진화중입니다. 오늘의 키워드 전적응 전적응(=사전적응) 본디 진화는 시간이 지나간 뒤에서 비로소 알게되는 일임 즉, 현재의 적응은 과거의 자연선택에 따른 결과임, 그러나 전적응은 동식물이 사전에 적응하는 현상 그 예시로 참새로 했는데 자전거보관소에서 적재적소하게 살고있는 참새는 본디 가시덤불에서 살아가고 있는 새로 서식환경이 비슷해서 적응하게 된 케이스라고 한다. 그외에도 도심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새들은 대부분 비슷한 형태인데 그 특이성을 비교해서 확인해본 결과 대부분 상대적으로 목소리가 높은 종류들이라고 한다. 참 재미있고...관심있어하는 분야인데.. 왜이리 책이 안읽히는지... 이렇게라도 조금씩 읽고있는 중입니다.:)
기록/1일 1글귀
2020. 10. 18. 18:06

2020.10.11. (일). "우리는 자연을 이야기 할 떄 왜 암묵적으로든 명시적으로든 인간을 배제하려할까..." 그리고 "왜 개미사회는, ~ 먹이사슬 전체에서 개미 역할은 자연스럽다 여기면서 인간사회는 비자연적으로 원치않는 폐를 끼친다고 생각할까" p34, 35 - 도시에서 진화중입니다 중에서 - 결국 인간도 같은 동물인데... 먹이사슬의 최상위 포식자의 위치인데... 어쩌면 우리는 신이라는 존재를 동경하며 신과의 위치를 동일시하기 위하여 같은 동물이라는 카테고리에서 빠져나와 군림하기 위한 하나의 발버둥일지도 모른다
기록/1일 1글귀
2020. 10. 12. 08:29